로버트 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훅(Robert Hooke, 1635–1703)은 영국의 과학자이자 박식가로,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훅은 현미경을 개량하여 생물학 연구에 기여하고, 1665년에는 현미경 관찰 결과를 담은 저서 《마이크로그라피아》를 출판하여 '세포'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그는 또한 빛의 파동설을 제시하고, 중력의 역제곱 법칙을 주장했으며, 탄성 법칙(훅의 법칙)을 발견하는 등 광학, 천문학, 역학, 지질학, 물리학, 기상학, 화학, 건축학, 심리학 등 다방면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훅은 런던 대화재 이후 런던 재건에 참여하여 건축가로서도 활동했으며, 아이작 뉴턴과의 논쟁으로 인해 오랫동안 그의 업적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지만, 20세기에 들어 재평가되어 중요한 과학자로 인정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박물학자 - 조지프 니덤
영국의 생화학자이자 과학사가인 조지프 니덤은 발생생화학 분야의 권위자로서 중국 과학 발전사에 관심을 갖고 《중국 과학 문명사》를 통해 중국 과학 기술사를 연구하여 동서양의 과학 기술 교류에 기여했으며 유네스코 창립에 기여하고 곤빌 앤드 키스 칼리지의 학장을 역임했다. - 영국의 박물학자 - 로버트 브라운 (식물학자)
로버트 브라운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식물학자로, 세포핵을 발견하고 오스트레일리아 식물을 연구했으며, 브라운 운동을 관찰하여 식물 분류에 기여했다. - 영국의 지질학자 - 찰스 라이엘
영국의 지질학자이자 변호사였던 찰스 라이엘은 제임스 허턴의 동일과정설을 발전시키고 대중화했으며, 대표 저서 《지질학 원리》를 통해 지구가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변화했다는 이론을 제시하여 지질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층서학, 고생물학, 빙하학 등 다양한 지질학 분야에 기여했다. - 영국의 지질학자 - 윌리엄 스미스 (지질학자)
윌리엄 스미스는 영국의 지질학자이자 측량사로, 최초의 영국 지질도를 제작하고 층서학의 기초를 확립하여 "영국 지질학의 아버지"라 불리며, 그의 업적은 현대 지질학과 지질도 제작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심리학자 - 데이비드 하틀리
데이비드 하틀리는 18세기 영국의 의사이자 철학자로, 감각 경험의 연합을 통해 복잡한 의식이 형성된다는 '진동설'과 '관념연합설'을 제시하며 경험주의적 심리학에 기여했고, 그의 이론은 결정론적 입장과 연결되어 당대 지식인들과 현대 심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심리학자 - 존 볼비
영국의 정신분석가이자 발달심리학자인 존 볼비는 아동의 애착 행동과 발달에 대한 연구, 특히 애착 이론을 창시하여 초기 아동기의 경험이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중요성을 강조했다.
로버트 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635년 7월 18일 |
출생지 | ワイト 섬, 프레시워터, 잉글랜드 |
사망일 | 1703년 3월 3일 |
사망지 | 런던, 잉글랜드 |
안장 장소 | 비숍스게이트 세인트 헬렌 교회 |
![]() | |
연구 분야 | |
분야 | 물리학 및 생물학 |
직장 | 옥스퍼드 대학교 |
출신 대학 | 크라이스트 처치 (옥스퍼드 대학교) |
지도 교수 | 존 윌킨스, 로버트 보일 |
업적 | |
주요 업적 | 밸런스 스프링 원뿔 진자 정력 이스케이프먼트 키매틱스 감마 아리에티스 발견 세포 발견 대적점 발견 훅의 법칙 훅 조인트 훅의 반사경 훅의 바퀴 마이크로그라피아 현미경 휴대용 카메라 옵스큐라 레티클 쉴리렌 섀도그래프 구조색 미닫이 창 깡통 전화기 |
수상 | 왕립 학회 회원 (1663년) |
2. 생애
1635년 와이트 섬의 프레쉬워터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성공회 성직자였다.[7] 어릴 적부터 기계와 제도에 관심이 많았고, 놋쇠 시계를 분해하고 복제품을 만들기도 했다.
1648년 아버지가 사망하고 런던으로 가서 피터 레리에게 그림을 배웠으나, 곧 웨스트민스터 학교에 입학하여 라틴어, 그리스어 등을 배웠다.[8]
1653년 옥스퍼드 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 칼리지에 입학하여 토머스 윌리스와 로버트 보일의 조수로 활동했다.[66]
1662년 왕립 학회의 실험 관리인으로 임명되었고,[66] 1663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6] 1665년에는 그레셤 대학의 기하학 교수가 되었다.[66]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 도시 재건 감독관으로 임명되어, 크리스토퍼 렌과 함께 도시 재건에 참여했다. 훅과 렌은 대화재 추모비를 세우는 책임을 맡았고, 훅은 베들레헴 병원, 몬태규 하우스, 왕립 의과 대학, 래글리 홀 등의 설계를 맡았다.[67]
아이작 뉴턴 등 당대 과학자들과 발견의 우선권을 두고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66]
1687년 아내(실제로는 조카)였던 그레이스 훅이 사망하자 큰 슬픔에 빠졌다.[66] 1703년 런던 그레셤 대학에서 사망했으며, St Helen’s Bishopsgate에 안치되었으나 현재 묘지의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65]
훅의 생애는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시기 | 내용 |
---|---|
1635년 | 7월 18일 와이트 섬의 프레쉬워터에서 출생. |
1648년 | 아버지 사망. 런던으로 이주, 웨스트민스터 학교 입학. |
1653년 | 옥스퍼드 대학교 입학. 크리스토퍼 렌과 친분을 맺음. |
1655년 | 토머스 윌리스와 로버트 보일의 조수가 됨. |
1662년 | 왕립 학회 실험 관리인으로 임명. |
1663년 |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 |
1664년 | 존 커틀러 경의 지원으로 왕립 학회 강좌를 맡음. |
1665년 | 왕립 학회 관리직 종신 임명, 그레셤 대학 기하학 교수 임용, Micrographia 출판. |
1666년 | 런던 대화재 이후 도시 재건 감독관으로 임명. |
1667년 | 도시 재건 모델 발표, 도시 감독관으로 지명. |
1672년 | 빛의 회절에 관한 논문 출판, 아이작 뉴턴과 대립. |
1674년 | 관측을 통한 지구의 운동 해석 논문 출판, 최초의 그레고리안식 망원경 제작. |
1675년 | 뉴턴의 색에 관한 탐구 발간, 크리스티안 하위헌스와 시계 제작 관련 논쟁. |
1677년 | 왕립 학회 사무국장 임명. |
1679년 | 뉴턴에게 달의 운동에 대한 생각 재고 요청, 뉴턴은 이를 부정. |
1682년 | 왕립 학회 사무국장직 사임. |
1687년 | 아내(조카) 그레이스 훅 사망. |
1696년 | 왕립 학회 실험 보수 지급, 건강 악화. |
1703년 | 그레셤 대학에서 사망, St Helen’s Bishopsgate에 안치. |
2. 1. 출생 및 유년기
1635년 7월 18일, 로버트 훅은 영국 와이트섬 프레쉬워터에서 성공회 사제인 존 훅과 세실리 가일스 사이에서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66] 훅의 어린 시절에 대해 알려진 사실은 대부분 1696년에 쓰기 시작했지만 완성하지 못한 자서전에서 비롯되었다.[67] 어린 시절 훅은 몸이 허약하여 오래 살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으나, 성장하면서 건강을 회복했다.훅의 아버지는 프레쉬워터의 만성 교회의 목사였으며,[67] 훅에게 영어, (라틴어) 문법, 신학 등을 가르쳤다. 하지만 훅의 건강 문제로 교육은 소홀히 여겨졌다.[67] 그럼에도 불구하고 훅은 스스로 작은 기계 장치를 만들거나 놋쇠 시계를 분해하고 나무 모형을 만드는 등 기계에 대한 재능을 보였다.[67]
1648년 10월, 훅의 아버지가 사망하면서 훅은 유산을 상속받았다.[67] 그는 이 돈으로 런던으로 가서 유명한 화가 피터 렐리의 견습생이 되었다.[67]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웨스트민스터 스쿨에 입학하여 리처드 버스비 교장과 함께 살면서 라틴어, 그리스어, 유클리드의 ''원론'' 등을 빠르게 습득했다.[67] 또한 오르간 연주를 배우고 역학 연구를 시작하는 등 평생에 걸친 과학적 탐구의 기초를 다졌다.[67]
2. 2. 옥스퍼드 시절
1653년, 훅은 옥스퍼드 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 칼리지에 입학하여 오르가니스트와 성가대원으로 활동하며 학비와 숙소를 무료로 제공받았다.[9] 의사이자 화학자인 토머스 윌리스의 조수로 일하며 과학에 대한 열정을 키웠다.[10] 존 윌킨스가 이끌던 옥스퍼드 철학 클럽의 멤버로 활동하며 세스 워드, 로버트 보일 등 저명한 과학자들과 교류했다.[67]1655년, 로버트 보일의 조수가 되어[10] 공기 펌프를 개발하고 보일의 법칙 발견에 기여했다.[11] 훅은 보일의 실험을 위해 랄프 그레이토렉스의 펌프보다 정교한 공기 펌프를 개발했다.[66] 1662년,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67]
2. 3. 왕립 학회 활동
1660년 왕립 학회가 설립된 후, 1661년 11월 5일 로버트 모레이 경의 제안으로 훅은 실험 관리인으로 임명되었다.[67] 1664년 존 커틀러 경은 왕립 학회에 역학 강의를 위해 연간 50파운드를 기부했고, 훅은 이 강의를 맡게 되었다.[67] 1665년 1월 11일, 훅은 연간 80파운드의 급여를 받는 종신 관리인으로 임명되었다.[67]왕립 학회에서 훅의 역할은 자신의 실험을 선보이거나 다른 회원들의 실험에 조언하는 것이었다.[67] 그는 공기의 성질, 개의 생체 해부 실험,[67] 중력, 기압, 진자 운동 등 다양한 분야의 실험을 설계하고 시연했다.[67]
1663년 6월, 훅은 왕립 학회 회원(FRS)으로 선출되었다.[67] 1665년 3월 20일, 그는 그레셤 기하학 교수로 임명되었다.[67] 1677년 12월 19일, 훅은 왕립 학회 공동 비서가 되었다.[67]
2. 4. 중년기 및 말년기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 훅은 도시 재건 감독관으로 임명되어 뛰어난 기술적 능력과 행정적 지도력을 발휘했다.[2] 그는 에드워드 저먼, 피터 밀스, 크리스토퍼 렌, 휴 메이, 로저 프랫과 함께 도시 감독관으로 지명되었다.[67] 훅과 크리스토퍼 렌은 대화재 추모비를 세우는 책임을 맡았으며, 훅은 베들레헴 병원, 몬태규 하우스, 왕립 의과 대학, 래글리 홀 등의 설계를 맡았다.[67] 또한 웨스트민스터 학교의 오랜 스승이었던 버스비 박사를 기리기 위해 버킹엄셔에 윌렌 교회를 세웠다.[67] 훅은 크리스토퍼 렌과 함께 그리니치 천문대 설계를 맡았다.[73]훅은 아이작 뉴턴,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등 당대 과학자들과 발견의 우선권을 두고 논쟁을 벌였다.[66] 1672년 2월 15일, 훅은 빛의 회절에 관한 논문을 출판했는데, 이는 1월 왕립 학회에서 있었던 아이작 뉴턴의 생각과는 반대되는 내용이었다.[66] 1675년 뉴턴의 '색에 관한 탐구(Discourse on colour)'가 훅의 ''Micrographia''에서 영감을 얻어 발간되었는데, 뉴턴은 훅의 업적을 일부 인정하면서도 자신의 독창적인 발견임을 주장하였다.[66] 1679년 뉴턴에게 보낸 편지에서 달의 운동에 대한 자기 생각을 다시 고려해보겠다고 썼으나, 뉴턴은 ‘프린키피아’에서 ‘로버트 훅이 이 위대한 발견의 실마리를 뉴턴에게 주었다’라는 사실을 부정하였다.[66]
1687년, 로버트 훅의 아내(실제로는 조카)였던 그레이스 훅이 사망하여, 훅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66] 1696년, 왕립 학회는 그의 실험에 대한 보수를 계속 지급했지만, 훅의 건강은 계속 악화되었다.[66] 1702년에서 1703년 사이, 훅은 시력을 잃고 다리를 절게 되었는데, 이는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추측된다.[66] 1703년 3월 3일, 훅은 런던 그레셤 대학 연구소에서 사망했다.[65] 훅의 묘지는 St Helen’s Bishopsgate에 안치되었으나, 19세기 경 런던으로 이장되었고, 현재는 정확한 위치가 알려져 있지 않다.[65]
3. 과학적 업적
로버트 훅은 여러 과학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겼다. 훅의 접근법은 중세의 아리스토텔레스식 자연 철학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과학으로 나아가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66] 그는 다양한 실험 기구를 고안하고, 여러 분야에서 최초의 발견을 했다.[66] 훅은 기술이 과학 없이 진보할 수 있지만, 과학은 기술 없이는 진보할 수 없다고 믿었으며, 더 정밀한 측정 기구를 만드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69]
훅의 주요 과학적 업적은 다음과 같다.
- 현미경학: 현미경을 개량하고, 『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를 출판하여 세포(cell)를 최초로 발견하고 명명했다. 코르크 얇은 조각을 관찰하여 벌집과 같은 구조를 발견하고, 이를 '작은 방'을 뜻하는 라틴어를 따서 '세포(cell)'라고 명명했다. 이는 세포(cell)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사례이다. 하지만, 실제로 그가 관찰한 것은 세포 자체가 아닌 식물의 세포벽이었고, 세포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는 못했다.
- 광학: 빛의 회절 현상을 연구하고 빛의 파동설을 주장했다. 훅은 빛에 대해 하위헌스의 압축파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상하로 진동하는 파동이라고 주장했다.
- 천문학: 망원경 제작 기술을 발전시키고 목성의 대적반과 자전 주기를 관찰했으며,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려 시도했다. 1664년 5월, 훅은 굴절 망원경을 사용하여 목성의 대적반이 행성 표면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것을 두 시간 동안 관찰했다.
- 역학: 훅의 법칙을 발견하고 태엽 스프링을 개발하여 휴대용 시계의 정확도를 높였다. 중력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역제곱 법칙을 제안했다. 1660년, 훅은 고체에 힘을 가해 변형시킬 때 힘과 변형의 양이 비례한다는 훅의 법칙을 발견했다.
- 지질학: 화석이 오랜 시간에 걸친 자연적 과정의 결과라고 주장하고, 지진과 지구 표면 변화에 대한 이론을 제시했다. 훅은 1665년 화석이 지구 자체의 조형적 잠재력에 의해 형성된 돌이라는 개념을 부정하고, 오랜 시간에 걸친 자연적 과정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 물리학: 열이 물질의 진동에 기인한다는 진동론을 선호하고, 행성 운동에 대한 우주 체계를 제시했다. 훅은 열이 물질의 진동에 기인한다는 진동론을 선호했다.
- 기상학: 기압계, 풍속계, 온도계, 습도계 등을 발명하고, 기상 관측 방법과 기록에 대한 지침을 제시했다. 로버트 훅은 기상학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시계 문자판 형태의 압력계, 풍속계, 개량된 온도계, 습도계 등을 발명하여 최초의 기상학자로 불린다.
- 화학: 로버트 보일의 조수로 보일의 법칙 정립에 기여하고, 연소와 호흡이 공기 중 '흡수'되는 무언가와 관련된다고 생각했다. 로버트 훅은 로버트 보일의 조교였으며 로버트 보일이 보일의 법칙을 정립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 건축학: 크리스토퍼 렌의 조력자로 런던 대화재 이후 런던 재건에 참여하고, 여러 건축물을 설계했다.
- 심리학: 인간의 기억에 대한 과학적 모델을 제시했다. 훅은 1682년 왕립학회에서 인간의 기억에 대한 과학적 모델을 제시했다.
훅은 성인이 된 후 가난했지만 뛰어난 과학 연구자로 활동하다가,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 복구에 기여하며 경제적으로 성공했다. 그러나 만년에는 여러 논쟁에 개입하며 역사적으로 큰 명성을 얻지 못했다.[2]
3. 1. 현미경학

1665년, 로버트 훅은 현미경 관찰 결과를 담은 저서 『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를 출판하여 생물학 분야에서 명성을 얻었다.[67][72][73] 『마이크로그라피아』는 당시 흔치 않게 영어로 쓰였고, 명확한 서술 덕분에 많은 독자가 쉽게 읽을 수 있었다.

훅은 복합 현미경을 개량하고, 조리개를 사용하여 빛을 조절하는 등 현재의 광학 현미경에 가까운 수준으로 발전시켰다.[72] 그는 코르크 얇은 조각을 관찰하여 벌집과 같은 구조를 발견하고, 이를 '작은 방'을 뜻하는 라틴어를 따서 '세포(cell)'라고 명명했다.[72] 이는 세포(cell)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사례이다. 하지만, 실제로 그가 관찰한 것은 세포 자체가 아닌 식물의 세포벽이었고, 세포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는 못했다.[72]

훅은 『마이크로그라피아』에서 벼룩, 이, 파리 등 곤충과 눈, 유리 막대 등 무생물을 포함한 다양한 대상을 관찰하고 세밀하게 묘사했다.[74][72] 그는 관찰 시 빛의 방향 등 여러 요소에 의해 결과물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고, 빛을 일정 방향에서 쏘는 '실천적 개입'을 통해 객관적인 결과물을 얻고자 노력했다.[75]
3. 2. 광학
훅은 얇은 물질 막이 만들어내는 색의 패턴을 연구하였고, 두 개의 층에서 반사된 빛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섭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훅은 두 장의 유리판을 약간의 각도로 유지하며 접근시켜 빛이 색을 띤 둥근 고리 모양을 이루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현상은 뉴턴의 고리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이는 뉴턴이 자신의 업적으로 주장했기 때문이다.[67]훅은 빛에 대해 하위헌스의 압축파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상하로 진동하는 파동이라고 주장했다.[67] 그러나 데카르트, 하위헌스와 같이 물체 내 입자들의 연속적인 진동을 통해 빛이 전달된다는 개념을 기초로 빛의 굴절을 해석하여 잘못된 결론에 도달하였다.[70]
훅은 박막의 성질을 관찰한 결과, 빛깔이 주기적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뉴턴은 이 아이디어를 받아 막을 측정하는 장치를 통해 주기성을 사실로 확립하였다. 뉴턴의 빛깔 이론은 로버트 훅의 통찰력에서 나왔으며, 훅은 빛깔 이론의 돌파구를 마련하는데 기여했다.
3. 3. 천문학
로버트 훅은 천문학을 다른 학문보다 더 길게 연구했으며, 그레셤 대학교 사무실에 망원경을 설치하기도 했다.[69] 그는 망원경 제작 기술을 발전시키고, 물체의 겉보기 운동을 부드럽게 따라갈 수 있는 훅 조인트, 시계 장치 구동 장치, 마이크로미터 스크류 등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명했다.[70]1664년 5월, 훅은 굴절 망원경을 사용하여 목성의 대적반이 행성 표면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것을 두 시간 동안 관찰했다. 1665년 3월, 그는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이를 바탕으로 이탈리아 천문학자 조반니 카시니는 목성의 자전 주기가 9시간 55분이라고 계산했다. 훅은 개량된 광학 반사망원경을 이용해 1665년에 목성의 대적점을 기록하였고, 프랑스의 천문학자 지오반니 카시니(Giovanni Cassini)는 그것을 1666년 망원경을 통해서 관찰한 뒤 ‘목성의 눈 (Eye of the Jupitar)’이라고 이름 붙였다.[72]

훅은 시차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려 했다. 그는 용자리 γ별을 선택하여 1669년에 거리를 구했다고 발표했지만, 당시 기구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측정 결과는 정확하지 않았다.[32]
그의 저서 ''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에는 플레이아데스 성단과 달의 크레이터 그림이 포함되어 있다.[70] 그는 크레이터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기도 했다.[69] 또한, 훅은 토성의 고리를 관찰하고,[34] 1664년에 쌍성 중 하나인 양자리 γ별을 발견했다.[35]
3. 4. 역학
1660년, 훅은 고체에 힘을 가해 변형시킬 때 힘과 변형의 양이 비례한다는 훅의 법칙을 발견했다. 이 법칙은 고체역학의 기본 법칙 중 하나로, 탄성 한계를 넘어서면 물체가 탄성을 잃게 된다.[72] 훅은 늘어나는 용수철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이 법칙을 발견했다.[72]
훅은 자신의 탄성 법칙을 처음에는 "ceiiinosssttuv"라는 아나그램으로 발표했고, 1678년에 "Ut tensio, sic vis" (늘어남과 같이 힘도 마찬가지다)라는 해답을 제시했다.[26] 이러한 아나그램 발표 방식은 당시 과학자들이 발견의 우선권을 주장하기 위해 사용했던 방법이었다.
훅의 탄성 연구는 태엽 스프링 개발로 이어졌고, 이는 휴대용 시계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켰다.[26] 훅과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이 발명의 우선권을 두고 논쟁을 벌였으나, 1670년 6월 23일자 왕립 학회 기록[26]은 훅이 밸런스로 제어되는 시계를 시연했음을 보여주며 훅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1662년, 훅은 중력을 측정하는 장치를 고안하여 실험했지만, 결과는 명확하지 않았다.[69] 이 실험은 1674년, 훅이 모든 물체에 중력이 작용하며, 물체에 가까워질수록 중력이 강해진다고 주장하는 계기가 되었다.[69] 1680년, 훅은 중력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역제곱 법칙을 주장했다.[69]
훅은 아이작 뉴턴에게 보낸 편지에서 "인력은 항상 중심으로부터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자신의 "추정"을 전달했다.[44] 그러나 훅은 이 법칙을 수학적으로 증명하지 못했고, 아이작 뉴턴이 프린키피아에서 이를 증명하여 발표하면서 논쟁이 벌어졌다. 훅은 뉴턴에게 역제곱 법칙의 아이디어를 제공했다고 주장했지만, 뉴턴은 훅의 주장이 수학적 증명이 부족하다고 반박했다.
훅은 에테르 이론을 믿었던 당시 과학자들과 달리, 1665년 저서 미크로그래피에서 중력의 인력 원리를 주장했다. 1666년 왕립 학회 강연에서는 "모든 천체는 자신의 중심에 대한 중력뿐만 아니라 작용 범위 내에서 서로를 끌어당긴다"고 주장했다.[37]
1674년 강연에서는 중력이 "모든 천체"에 적용된다고 언급했지만,[38] 역제곱 법칙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훅은 "이러한 여러 정도[의 중력 인력]가 무엇인지는 아직 실험적으로 확인하지 못했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제안이 "현재 단지 힌트일 뿐"이라고 덧붙였다.[38]
훅은 보편중력의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39] 원운동과 천체역학에 대한 혁명적 통찰을 제시했다. 그는 원심력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궤도역학의 요소를 명확히 본 첫 번째 사람이었다.
3. 5. 지질학
훅은 1665년 화석이 지구 자체의 조형적 잠재력에 의해 형성된 돌이라는 개념을 부정하고, 오랜 시간에 걸친 자연적 과정의 결과라고 주장했다.[70] 그는 화석이 대홍수, 대범람, 지진 등에 의해 특정 장소에 던져져 굳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67]훅은 그레셤 대학에서 행한 강연에서 화석이 지구 표면의 주요한 변화를 포함하고 있다고 인정했으며, 이와 관련된 내용은 그가 죽은 뒤 2년 뒤 출판된 ''Discourses of Earthquakes''에 담겨 있다. 그는 "한때 바다였던 부분들이 현재는 땅이고, 산맥들은 평야로 변했고, 평야는 산맥으로 변했다."라고 말했다.[67]
''Discourses of Earthquakes''는 훅의 지질학적 관점을 보여주는 책으로, 지진과 지구 표면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책에서 훅은 지구 표면이 울퉁불퉁한 이유와 조개껍데기나 바다, 육지 화석들이 전 지구 영역에 걸쳐 분포하는 이유를 제시한다.
훅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처럼 내륙 지방의 산에서 발견되는 조개껍데기 화석을 보고, "대부분 내륙지방은 물속에 잠겨있었으며 이러한 잠겨있던 부분들이 물의 표면 밖으로 나온 것"이라고 설명하며 큰 지진이 일어났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화석을 현재 살아있는 생물들과 비교하면서 과거에 살았으나 지금은 멸종된 생물이라고 표현했으며, 많은 화석이 대량 멸종(mass extinction)되었다는 점을 들어 진화와 비슷한 개념을 제시하기도 했다. 또한, 퇴적 과정 (예: 부식, 침전)과 입자가 작아지는 과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73][76][77]
3. 6. 물리학
훅은 열이 물질의 진동에 기인한다는 진동론을 선호했다.[70] 1674년, 훅은 모든 천체가 자신의 중심을 향하는 인력을 가지며, 직선 운동을 하는 물체가 외부 힘에 의해 굴절되어 곡선 운동을 한다는 우주 체계를 제시했다.[67]훅은 행성이 궤도를 유지하는 힘의 원천을 탐구하고, 태양이 행성에 인력을 미친다고 생각했지만, 정확한 수학적 표현은 얻지 못했다.[67] 1670년 강연에서 훅은 중력이 모든 천체에 작용하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약해지고, 중력이 없으면 물체는 직진한다고 설명했다.
1672년, 아이작 뉴턴이 빛의 입자설을 발표하자, 훅은 빛의 파동설로 응전했다. 또한, 뉴턴 논문의 내용 대부분은 자신이 『현미경 도해』에서 이미 발표했다고 주장하여 큰 논쟁이 벌어졌다.
1679년, 훅은 뉴턴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행성 운동에 대한 아이디어를 교환했다. 훅은 인력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고 제안했지만,[44] 속도에 관한 추론은 틀렸다.[45]
1686년, 뉴턴의 『프린키피아』가 왕립 학회에 제출되었을 때, 훅은 중력의 제곱 역수 법칙을 자신이 먼저 뉴턴에게 제시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뉴턴은 훅 이전의 연구들을 제시하며 반박했고, 수학적 정식화는 자신의 업적이라고 주장했다.[41]
3. 7. 기상학
로버트 훅은 기상학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시계 문자판 형태의 압력계, 풍속계, 개량된 온도계, 습도계 등을 발명하여 최초의 기상학자로 불린다.[67] 그는 대기압의 변화와 기후 변화 사이에 관계가 있음을 유추하기도 하였다.[67]1663년, 훅은 기상 관측 방법과 기록에 대한 지침을 담은 "A method for making the history of the weather"를 발표했다. 이 책은 같은 해 10월 7일 전에 왕립협회에서 낭독되었으며, 당시 기상 관측에 참여하던 여러 사람들에게 보내졌다.
훅은 왕립협회에서 활동하면서 다양한 기상 관측 도구를 만들었다. 1683년 11월 14일, 훅은 공기와 바람의 속력 및 세기를 측정하는 풍속계를 시연했다. 이 풍속계는 1667년 3월 12일에 느린 공기의 움직임을 더 잘 감지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3. 8. 화학
로버트 훅은 로버트 보일의 조교였으며 로버트 보일이 보일의 법칙을 정립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그는 장비 제작에 능숙했으며, 그가 만든 공기 펌프 덕분에 보일의 법칙이 탄생할 수 있었다.[67]
위 그림은 일정 온도에서 기체의 부피와 압력이 반비례 관계라는 보일의 법칙을 잘 보여준다.
로버트 훅은 연소 실험을 통해 연소와 호흡이 공기 중 '흡수'되는 무언가와 관련된다고 생각했다. 이는 훅이 산소 발견에 매우 근접했음을 보여주는 좋은 증거이다. 실제로 산소는 1세기 정도 후에 프리스틀리와 라부아지에에 의해 발견되었다. 또한 훅은 몸의 운동으로 생기는 열과 두 사물의 결합과 관련된 연소를 명확히 구분하기도 하였다. 훅은 자신의 귀에서 통증이 느껴질 때까지 펌프로 공기를 빼낸 방 안에 앉아있는 등 자신을 실험 대상으로 삼는 독특한 실험 정신을 보여주기도 하였다.[67]
3. 9. 건축학
크리스토퍼 렌의 조력자로서 1666년 런던 대화재 이후 런던 재건에 힘썼다. 훅은 런던 시의 측량사이자 렌의 수석 조수였다.[69] 훅은 런던 대화재 기념비[69]구조물에 렌의 것으로 표기된 명판은 정확하지 않다., 그리니치 천문대, 블룸즈버리의 몽타구 하우스, 베들렘 왕립 병원 등을 설계했다. 그 외에도 왕립 의학원, 애스크 병원, 워릭셔 주 래글리 홀, 버킹엄셔 주 윌렌의 성 마리아 막달레나 교회와 램스버리 매너 등이 있다.[69]
렌과 훅은 세인트 폴 대성당 설계에 협력했는데, 훅은 돔 건설에 현수선 원리를 적용했다.[69]
대화재 이후 재건 과정에서 훅은 넓은 대로와 간선 도로가 있는 격자형 패턴으로 런던의 거리를 재설계할 것을 제안했다.[69] 이 패턴은 이후 오스만의 파리 개조와 많은 미국 도시에서 사용되었다.[69] 훅은 강제 매입될 토지를 측정하고 인증하여 보상을 지불할 수 있도록 했다.[69] 1670년에 그는 왕립 공공 사업의 측량사로 임명되었다.[69]
3. 10. 심리학
훅은 1682년 왕립학회에서 인간의 기억에 대한 과학적 모델을 제시했다.[1] 이 모델은 이전의 철학적인 모델과는 달리 기계적인 방식으로 기억을 설명했다.훅의 모델은 부호화, 기억 용량, 반복, 인출, 망각 등의 요소를 포함한다.
이 모델은 주의력과 부호화에 대한 상향식 영향을 고려하고, 공명을 사용하여 병렬적이고 단서에 의존적인 인출을 구현한다. 또한, 최근 기억, 반복, 점화 효과를 설명하고, 망각의 법칙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대의 기억 모델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1]
4. 주요 저서
Micrographia영어 (1665): 현미경 관찰 결과를 담은 책으로, 생물학 분야에서 명성을 얻었다.[66] 마이크로그라피아는 현미경을 통한 관찰을 총정리해 담았다고 할 수 있으며, 1665년 9월 출간된 왕립학회(Royal Society)의 주요 출판물이다. 영어로 쓰여 있고, 서술이 분명하여 많은 독자가 쉽게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훅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사람들도 생겨났다. 그림은 크리스토퍼 렌(Christopher Wren영어)이 그렸다.[67] Geoffrey Keynes는 “과학의 역사에서 이제까지 출판된 것 중 가장 중요한 책”이라고 평했으며, 새뮤얼 피프스는 "내가 이제까지 본 책 중에 가장 독창적인 책”이라고 말했다.[73]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저서인 별들의 소식과 종종 함께 언급되는데, 별들의 소식이 거대 우주 본성에 대한 사람들의 시야를 넓혀주었다면 마이크로그라피아는 미시세계에 대한 사람들의 시야를 열어주었다. 현미경을 이용하여 쓴 최초의 책이다.[73] 이 책에서 훅은 생물(파리, 진드기 등)뿐만 아니라 무생물(눈이나 유리막대)에 대해서도 다루었으며, 달에 대한 관찰도 하였다.[73]
마이크로그라피아는 총 60개의 관찰로 나뉘어 있으며, 곤충에 대한 관찰뿐만 아니라 달 등을 비롯하여 많은 무생물에 관한 관찰을 담았다.
장 | 내용 |
---|---|
1장 ~ 18장 | 바늘이나 면도날의 끝, 비단, 유리막대, 부싯돌에서 발생하는 스파크, 금속과 그들의 색, 작은 모래, 요석, 다이아몬드, 눈(얼음), 석탄과 불에 탄 식물, 코르크(여기서 cell이라는 용어가 비롯된다.) 등의 무생물 |
19장 ~ 31장 | 색이 변한 나뭇잎, 푸른곰팡이와 부패, 이끼, 해초, 로즈메리의 잎, 쐐기풀 등의 독성 식물, 귀리, tyme, poppy(양귀비) 등의 씨앗, 쇠비름 등에 대한 식물 |
32장 ~ 56장 | 물고기의 비늘, 파리의 눈과 다리, 날개와 깃털, 벌침, 달팽이의 이빨, 잠자리, 각다귀, 나방, 은색의 책벌레, 개미, 벼룩, 이 등 동물 |
57장 ~ 60장 | 식초 속의 뱀장어 관찰, 공기에 대한 관찰, 여러 가지 작은 별에 대한 관찰, 달에 관한 관찰 |
각각의 관찰은 글로 서술되어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몇몇은 관찰에 대하여서는 정교한 그림이 그려져 있어 이해를 돕는다.[74][72]
Discourse of Earthquakes영어 (1705, 사후 출판): 지진과 지구 표면 변화에 대한 강연 내용을 정리한 책으로, 지질학적 관점을 제시했다.[66] Richard Waller에 의하여 정리되고 출판되었다.[76] 원래 제목은 ‘‘Lectures and Discourses of Earthquakes, and Subterraneous Eruption’’로 지진과 지구 표면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하여 다루었다. 표지에서 로버트 훅은 "지구의 표면이 울퉁불퉁한 이유에 대한 설명(Explicating the causes of the rugged and uneven face of the Earth)과 어떠한 이유에서 조개껍질이나 다른 바다와 육지의 화석들이 전 지구영역에 걸쳐 분포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유를 제시한다. (and, what reasons may be given for the frequent finding of shells and other Sea and Land Petrified substances, scattered over the whole Terrestrial Superficies)"라고 언급하며 이 책이 무엇을 다룰 것인지 말하고 있다. 이 책은 총 25개의 lecture로 구성되어있으며 여러 가지 그림이 함께 언급되고 있다. lecture는 여러 연도(1668년부터 1694년까지 왕립학회에서의 강연)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그것을 정리한 것이다.[76]
훅은 부정합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지구의 표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순환에 대한 것들을 명시하기도 하였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처럼 훅은 내륙지방의 산에서 발견되는 조개껍데기 화석의 존재성을 설명하며 이렇게 말하였다. "대부분 내륙지방은 물속에 잠겨있었으며 이러한 잠겨있던 부분들이 물의 표면 밖으로 나온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이러한 것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큰 지진이 일어나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훅은 화석에 대하여 계속하여 다루면서 현재 살아있는 생물들과 비교하면서 화석에 대하여 지구상에 예전에 살았으나 지금은 살지 않는 것들이라고 표현하였다. 또한, 그는 많은 화석이 mass extinction되었다는 점을 들어서 현재의 진화와 비슷한 개념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는 또한 퇴적의 과정에 대하여 (예를 들자면 부식이나 침전과 같은 것들) 설명하기도 하면서 입자가 점점 작아지는 과정에 대하여서 언급하기도 하였다.[77]
Cometa영어 (1667): 혜성 관찰 결과를 기록하고 혜성에 대한 추정을 담은 책이다.[66] 1664년 혜성이 로버트 훅에 의하여 관찰되고, 그 혜성이 1667년 두 번째로 나타났을 때 혜성에 대한 추정을 책으로 출판한 것이다. 훅은 그 책에서 혜성은 고체로 된 핵을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 빛을 낸다고 기록했다고 한다.
An Attempt to Prove the Motion of the Earth by Observations영어 (1674): 지구의 운동을 관측을 통해 증명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은 논문이다.[66]
A Description of Helioscopes영어 (1676): 태양 관측용 망원경에 대한 논의와 원형 스프링에 대한 원리를 해설한 논문이다.[66]
- 1672년 빛의 회절에 관한 논문을 내기도 하였으며, 그 내용은 뉴턴과는 사뭇 다른 내용이었다.[69]
- ''[https://libserv.aip.org/ipac20/ipac.jsp?session=1666E909O430T.253975&menu=search&aspect=power&npp=10&ipp=20&spp=20&profile=rev-all&ri=2&source=%7E%21horizon&index=.GW&term=Lectures+de+potentia+restitutiva%2C+or%2C+Of+spring+explaining+the+power+of+springing+bodies&x=20&y=8&aspect=power 복원력 강의, 또는 스프링의 힘을 설명하는 스프링 바디에 관하여]''. 런던: 존 마틴 인쇄. 1678.
- ''미크로그라피아''
- [https://gutenberg.beic.it/webclient/DeliveryManager?pid=12857123 ''지구의 연간 운동을 증명하려는 시도, 요하네스 헤벨리우스 씨의 '마키나 코엘레스티스'에 대한 논평, 헬리오스코프 및 기타 기구의 설명, 램프의 기계적 개선, 1677년 혜성에 대한 비고, 현미경, 스프링에 관한 강의'' 등을 포함한다.]
5. 과학 방법
훅은 프랜시스 베이컨의 영향을 받아 실험과 관찰을 중시하는 과학적 방법을 추구했다. 그는 베이컨의 '새 기관'을 당대에 적용하려 했으며, 실험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고 공리를 도출하는 체계적인 연구 방법을 제시했다.[78] 훅은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실험 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종합적 방법'이라 칭했고, 원인에서 결과로 추론하는 방식을 '분석적 방법'이라고 정의했다. 이는 뉴턴의 방법론과는 반대되는 개념이었다.[69]
훅은 과학 연구에서 실험 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더 정확한 관찰과 측정을 위해 다양한 기구를 발명했다. 그는 기상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기압계, 로버트 보일과 함께 발명하여 보일의 법칙 발견에 기여한 공기 펌프 등을 고안했다.[69]
훅은 자신의 과학 방법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사실 자연의 과학은 이미 충분히 오랫동안 두뇌와 공상의 작업만을 수행해왔다. 이제는 물질과 명백한 것들에 대한 관찰의 평범함과 건전함으로 되돌아가야 할 바로 그때다."[67]
"손과 눈에서 시작해 기억을 통하고 이성에 의해 계속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시 손과 눈으로 나와야 한다."[79]
이는 훅이 실험과 관찰을 통해 얻은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이성적인 추론을 통해 자연의 법칙을 발견해야 한다는 과학적 방법론을 제시한 것이다.
6. 다른 과학자들과의 관계
로버트 훅은 당대 많은 과학자들과 교류하며 협력하거나 경쟁했다. 특히, '뉴턴 혁명' 시기의 주요 인물들과 깊은 관계를 맺었다.
훅은 갈릴레오 갈릴레이, 존 윌킨스, 윌리엄 패티, 제러미 호록스, 존 플램스테드, 에드먼드 핼리, 카시니 등 다양한 분야의 과학자들과 교류했다.[66][69]
로버트 보일, 아이작 뉴턴,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안토니 레벤후크, 크리스토퍼 렌 등과 같이 잘 알려진 과학자들과 협력하거나 비판적인 관계를 맺었다.[73] 훅은 보일의 조수로 활동했으며, 뉴턴과는 여러 면에서 충돌했다.
훅은 만년에 성급하고 자존심이 강하며 논쟁적인 성격으로 알려져 있었다. 헨리 올덴버그와의 시계 기구 발명 논쟁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뉴턴은 훅 사후 왕립 학회 회장이 되어 훅의 업적을 덮으려 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렌의 아들이 쓴 책에서도 훅은 경시되었다.[18]
훅은 아이디어를 숨기기 위해 암호를 사용하기도 했으며, 왕립 학회 실험 감독으로서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했다는 증거도 있다. 훅은 바쁜 일정으로 인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특허화하지 못했다.[18]
훅의 성격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는 주로 최초의 전기 작가 리처드 월러의 평가에 기인한다.[16] 그러나 1935년 훅의 일기가 출판되면서, 훅이 토마스 톤피온, 크리스토퍼 콕스 등 유명 장인들과 교류하고, 크리스토퍼 렌, 존 오브리와 평생 친구로 지냈으며, 로버트 보일과 자주 만나 식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4][25]
6. 1. 로버트 보일
훅은 옥스퍼드 대학교 시절, 로버트 보일의 조수로 활동하면서 과학 연구에 참여했다.[67] 훅은 보일의 실험실에서 실험 장비 제작과 실험에 능숙한 조수로 인정받았다.[67] 특히 보일과 함께 공기 펌프를 발명하여 보일의 법칙 발견에 크게 기여했다.[67]보일과 훅은 기체의 압력과 부피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실험 기구를 개선했다. 기존 오토 폰 게리케(Otto von Guerike)의 실험 기구는 물 사용량이 많고, 관찰 기구 삽입이 불가능하며, 작동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67] 보일과 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새로운 공기 펌프를 개발했다.[67] 이 기구는 유리구(Receiver)와 펌프(Pumping apparatus)로 구성되었으며, 이후 43가지 실험에 사용되었다.[67]
보일의 공기 펌프는 당시 새로운 실험을 대표하는 상징이 되었으며, 화학 실험 기구 이후 실제 실험에 유용하게 사용된 최초의 '비싸고 큰 실험 기구'였다.[67] 또한 왕립학회에 비치되어 덴마크 대사, 뉴캐슬 공작부인 등 고위 인사들의 방문 시 흥미 용도로 사용되었다.[67]
보일과 훅은 헬몬트의 다양한 기체 존재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기체 연구를 진행했다. 화약 속 초석(질산칼륨)이 물속에서도 타는 것을 보고 공기의 작용이 있음을 주장하며, 공기가 연소를 일으키는 용매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70]
보일-훅의 공동 연구는 1661년 보일의 저서 '회의적인 화학자(The sceptical chymist)'와 '생리학 에세이(Certain Physiological Essays)' 출간으로 이어졌으며, 물질이 '원자와 유사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이론을 지지했다.[70]
6. 2. 아이작 뉴턴
아이작 뉴턴은 훅보다 7년이나 후배였지만, 훅은 뉴턴에게 늘 비판적이었다. 훅은 뉴턴의 뛰어난 재능에 질투심을 느꼈는지, 뉴턴의 학회 활동을 방해했다. 심지어 자신의 일기장에 뉴턴이 죽었으면 좋겠다고 쓸 정도로 적개심을 가졌으며, 뉴턴 또한 자신에게 적대적인 훅을 싫어했다.[67]뉴턴과 훅은 여러 논쟁을 벌였다. 훅은 뉴턴에게 달과 같은 물체가 일정한 궤도를 유지하려면 안으로 당기는 힘과 밖으로 작용하는 힘 사이에 평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을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신 궤도 운동이 달이 직선으로 움직이려는 경향성과 달을 지구 쪽으로 잡아당기려는 힘의 합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원거리 작용’이라 불리는, 빈 공간을 가로질러 달이나 행성들을 잡아당기는 중력의 개념을 제시했다. 뉴턴은 훅의 이러한 개념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훅과의 관계를 맺는 것을 주저하면서 지구의 회전을 시험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훅을 비꼬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67]
하지만 둘은 편지를 주고받으며 자연 철학적인 토론을 하였고, 서로의 오류를 비판하였다. 훅은 낙하 물체가 고체 지구를 저항 없이 뚫고 지나갈 수 있다고 가정하면, 낙하 물체의 올바른 궤적이 기다란 타원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뉴턴은 지구 내부를 돌고 있는 물체는 무정형의 궤적을 보인다고 반박했다. 이에 훅은 뉴턴이 중심에서 모든 거리에 대해 같은 힘에 기반을 두었다고 지적하며, 역제곱법칙을 뉴턴에게 소개해주었다. 이 편지는 1680년 뉴턴이 중력의 역제곱법칙을 따라서 행성들이 궤도를 이루고, 혜성들이 따르는 궤도를 가지는지를 증명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67]
1672년, 뉴턴이 빛의 입자설을 발표하자, 훅은 빛의 파동설로 반박했다. 또한, 뉴턴의 논문 내용 대부분은 자신이 현미경 도해에서 이미 발표한 것이라고 주장하여 큰 논쟁이 되었다.[38] 뉴턴은 1666년에 광학 실험을 시작했다는 문장에서, 그가 빛에 관한 관심을 미크로그래피아를 통해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언급했다. 그러나 뉴턴은 훅의 연구성과를 본격적으로 인용하지 않고, "훅 씨가 마이크로그라피아의 어딘가에서 두 개의 쐐기 같은 투명한 용기를 만들었다고 보고했던 예기치 않은 실험"이라는 식으로 참고 사실만 표현하고, 그 저작의 가치를 평가절하했다. 훅은 자신보다 나이가 적은 뉴턴에게 제대로 대접받지 못했다는 생각으로 친구들에게 항상 그 불만을 표출했다고 한다.[72]
뉴턴이 프린키피아를 출판했을 때, 훅은 중력의 법칙과 관련된 부분에서 자신의 선행연구(실제로 훅은 뉴턴보다 역제곱 법칙을 더 먼저 주장하였다.)가 충분히 인정받지 못한 사실에 대하여 적개심을 보였다.[72]
1703년 3월, 훅이 사망하자, 왕립학회에서 활동하지 않던 뉴턴이 왕립 학회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뉴턴은 훅의 과학적 업적들을 모두 짓밟고, 논문과 원고를 소각시켰다. 또한, 왕립학회를 크레인코트(Crane Court)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훅의 초상화를 유일하게 옮기지 않아, 훅의 업적은 뉴턴에 의해 많은 부분이 가려지게 되었다. 훅이 죽은 뒤에서야 뉴턴이 자신의 광학 연구결과물인 "Opticks"를 출판했다는 사실 또한 흥미로운 점이다.[72]
6. 3.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크리스티안 호이겐스는 1675년 2월 ''Journal de Scavans''에 밸런스 스프링을 사용하는 시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최초로 작동하는 밸런스 스프링 시계를 제작했다.[66][81] 그러나 훅은 이보다 최소 5년 앞서 밸런스 스프링의 원리를 독자적으로 개발했다.[12] 훅은 1655년 무렵부터 천문학에 관심을 가졌고, 1657년부터는 조반니 바티스타 리치올리의 진자 기구를 개량하며 중력과 계시 기구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는 항해에서 중요한 문제였던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보일 등의 도움을 받아 특허를 취득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훅은 코일 스프링(태엽 스프링)을 사용한 회중시계를 발명했지만,[12] 특허를 받지 않아 큰 부를 얻을 기회를 놓쳤고, 이 일로 발명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갖게 되었다.6. 4. 안톤 판 레이우엔훅
레이우엔훅은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현미경학과 미생물학 분야에 입문할 수 있었던 것은 로버트 훅의 도움이 컸다. 레이우엔훅은 훅보다 7년 늦게 태어났고, 같은 왕립학회 소속이었지만 교류는 없었다. 하지만 레이우엔훅이 훅의 저서 '마이크로그라피아'를 접하고 깊은 감명을 받아 현미경 연구를 시작한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1676년, 레이우엔훅이 물을 관찰하던 중 매우 작은 생명체(인류 최초로 발견된 박테리아)를 발견했지만, 왕립학회는 그의 연구를 의심했다. 그러나 훅은 레이우엔훅의 실험을 직접 재현하여 그의 연구 결과가 옳았음을 증명했다.[82] 1678년, 레이우엔훅이 "작은 동물들(little animals)"에 대한 관찰 결과를 발표했을 때, 왕립학회는 훅에게 검증을 요청하기도 했다.[73]
6. 5. 크리스토퍼 렌
크리스토퍼 렌은 영국의 수학자, 건축가, 천문학자로 훅과 많은 관계를 맺었다. 훅을 도와 마이크로그라피아의 도판을 제작했다.[83] 크리스토퍼 렌이 1663년 12월 9일 영국학술원에 제출한 〈날씨 자동 기록기의 기술(Description of weather clock)〉이라는 논문에 나오는 “날씨 박식기(Weather wiser)”는 로버트 훅이 만들었다. 런던 대화재 이후에는 훅과 함께 도시의 공동 재건축 설계사로 지명되어 많은 건물을 설계했다.[84]7. 로버트 훅의 재평가
로버트 훅은 아이작 뉴턴과의 논쟁으로 인해 오랫동안 그의 업적이 과소평가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이후 과학사 연구가 진행되면서, 훅은 광학, 역학, 천문학, 생물학, 지질학, 건축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한 업적을 남긴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과학자로 재평가받고 있다.[66]
훅은 탄성 법칙 (훅의 법칙)과 『미세 도해』를 통해 생물의 최소 단위를 "cell"(세포)이라고 명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업적에 비해 훅에 대해 쓰인 문헌은 매우 적다. 그는 왕립 학회의 실험 감독과 협의회 일원을 맡았으며, 런던 대화재 이후 화재 현장 측량을 지휘하여 거의 절반을 측량했다. 건축가로도 유명했지만, 현존하는 건축물은 적고 일부는 다른 사람의 설계로 여겨지기도 한다. 훅은 런던 대화재 이후 런던의 도시 계획에 관여했으며, 그의 영향은 오늘날 런던 거리에 남아있다. 역사학자 앨런 채프먼은 훅을 "잉글랜드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라고 평가했다.[2]
훅은 호국경 시대에 옥스퍼드 대학교 워덤 칼리지에서 존 윌킨스를 중심으로 결성된 왕당파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의학자 토마스 윌리스와 화학자 로버트 보일의 조수를 맡았으며, 보일이 기체의 법칙을 발견한 실험에 사용된 진공 펌프 제작을 도왔다. 훅은 최초의 그레고리식 망원경을 만들어 화성과 목성의 자전을 관찰하고, 화석 연구를 통해 진화론을 주장한 초기 인물 중 한 명이다.[3][4] 빛의 굴절 현상을 연구하여 파동설을 제시했으며, 물체가 가열되면 팽창하고 공기가 엉성한 미세 입자로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했다. 측량 및 지도 제작 분야에서도 선구적인 업적을 남겨 최초의 근대적 평면도를 작성했다. 런던 복구 시 격자형 가구로 만드는 재건안을 제안했지만, 기존 도로를 재건하는 안이 채택되었다. 중력이 역제곱 법칙을 따르고 행성이 그 법칙에 따라 운행한다는 것을 거의 파악하고 있었으며, 뉴턴이 이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5] 훅의 과학적 연구 대부분은 왕립 학회 실험 감독과 로버트 보일의 조수 시절에 이루어졌다.
훅의 생애는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 초기: 가난했지만 뛰어난 과학 연구자
- 중기: 경제적으로 성공하여 1666년 런던 대화재 복구에 크게 기여
- 만년: 까다로운 성격으로 여러 논쟁에 개입
만년의 행동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그의 이름이 크게 남지 못했다.
참조
[1]
FRS
Hooke; Robert (1635 - 1703)
2011-12-11
[2]
웹사이트
England's Leonardo: Robert Hooke (1635–1703) and the art of experiment in Restoration England
http://home.clara.ne[...]
[3]
서적
Robert Hooke: Tercentennial Studies
https://books.google[...]
Ashgate
2009-09-11
[4]
서적
Restless Genius: Robert Hooke and His Earthly Thoughts
Oxford University Press
[5]
문서
Encyclopaedia Britannica
ブリタニカ百科事典
[6]
웹사이트
The Tragedy of Robert Hooke's Brother
http://freespace.vir[...]
2010-03-09
[7]
Harvard
[8]
웹사이트
Hooke biography
http://www.gap-syste[...]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University of St Andrews, Scotland
2002-08
[9]
Harvard
[10]
서적
Leviathan and the Air-Pump: Hobbes, Boyle and the Experimental Life
http://www.stan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09-11
[11]
학술지
The Honourable Robert Boyle, F.R.S. (1627–1692)
[12]
문서
ぜんまい時計は15世紀に既に存在していた。
[13]
문서
Regle artificielle des tems, par H Sully
Paris
[14]
문서
The artificial clock maker
[15]
문서
John Cutler とフックはその後数年間、支払われるべき金額で争いを起こしている。Cutler が亡くなるとフックは Cutler 家の周辺の人々に支援を求めた。
https://books.google[...]
[16]
Harvard
[17]
학술지
Robert Hooke, Chemist
[18]
웹사이트
Robert Hooke Day at Christ Church, Oxford
http://hooke.chem.ox[...]
2009-01-23
[19]
서적
A Short History of Astronomy
John Murray
[20]
서적
Isaac Newton 1642–1727
Macmillan
[21]
서적
A Portrait of Isaac Newton
Harva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Isaac Newton
Charles Schribner's Sons
[23]
서적
Isaac Newton
Chanticleer Press
[24]
Harvard
[25]
Harvard
[26]
웹사이트
The Hooke Folio Online
http://webapps.qmul.[...]
[27]
Harvard
[28]
웹사이트
Ernst Florens Friedrich Chladni
http://www.ilt.colum[...]
Institute for Learning Technologies, Columbia University
[29]
문서
Oxford Dictionary of Scientists
Oxford University Press
[30]
문서
『顕微鏡図譜』の Observation 16 を参照
[31]
서적
A Short History of Chemistry
Macmillan and Company
[32]
서적
Parallax, The Race to Measure the Cosmos
W. H. Freeman
[33]
서적
The Astronomical Scrapbook
Sky Publishing Corporation
[34]
서적
The Planet Saturn
Faber and Faber Limited
[35]
서적
The Binary Stars
McGraw-Hill
[36]
서적
[37]
서적
Elements of the Philosophy of the Human Mind
https://books.google[...]
[38]
웹사이트
フックの1674年の "An Attempt to Prove the Motion of the Earth from Observations"
http://echo.mpiwg-be[...]
[39]
서적
The Newtonian achievement in astronomy
CUP
[40]
서적
Newton.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42]
서적
[43]
기타
[44]
서적
[45]
서적
[46]
웹사이트
Meanest foundations and nobler superstructures: Hooke, Newton and the 'Compounding of the Celestiall Motions of the Planetts'
https://books.google[...]
[47]
간행물
The pre-history of the 'Principia' from 1664 to 1686
[48]
서적
1729년 영어판
https://books.google[...]
[49]
서적
An Essay on Newton's 'Principia'
Macmillan, London and New York
[50]
서적
Explication abregée du systême du monde, et explication des principaux phénomenes astronomiques tirée des Principes de M. Newton
[51]
학술지
A Spurious Portrait of Robert Hooke (1635–1703)
[52]
서적
[53]
웹사이트
論駁(ろんばく)とは何? Weblio辞書
https://www.weblio.j[...]
2020-04-29
[54]
웹사이트
Oesper Chemistry Collection Helps Professor Clear Up Portrait Mystery
http://www.libraries[...]
[55]
웹사이트
http://www.she-philo[...]
[56]
웹사이트
Robert Hooke
http://www.rod.beavo[...]
[57]
서적
[58]
서적
Robert Hooke Natural Philosopher and Scientific Explorer
Compass Point Books, Minneapolis, Minnesota
[59]
서적
Cell Scientists: from Leeuwenhoek to Fuchs
Compass Point Books, Minneapolis, Minensota
[60]
서적
[61]
학술지
Gresham College memorial portrait of Robert Hooke
[62]
학술지
Robert Hooke: the forgotten genius of physics
Institute of Physics
[63]
학술지
Rita's portraits of Hooke sought after across UK
[64]
학술지
Unveiling of memorial portrait of Robert Hooke as astronomer and inventor.
[65]
웹사이트
www.roberthooke.com/[...]
[6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2-04-25
[67]
서적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과학
[6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1-08-30
[69]
웹사이트
BBC 로버트 훅 관련 자료
http://www.bbc.co.uk[...]
[70]
서적
세계과학문명사 2권
[71]
간행물
The fathers of scientific meteorology –Boyle, Wren, Hooke and Halley:Part 2
[72]
서적
청소년을 위한 서양 과학사
[73]
웹사이트
http://www.ucmp.berk[...]
[74]
웹사이트
Micrographia
http://digicoll.libr[...]
[75]
서적
과학이란 무엇인가
[76]
논문
Robert Hooke and his Conception of Earth-History
[77]
간행물
Lecture ans Discourses of Earthquakes ans Subterraneous Eruptions
[78]
논문
로버트 훅의 재평가
[79]
논문
로버트 훅의 재평가
[8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1-08-30
[81]
웹사이트
깨진 링크
http://inventors.abo[...]
[82]
웹사이트
http://www.bbc.co.uk[...]
[83]
서적
과학의 역사 근대편
[84]
웹사이트
웨이백
http://web.kma.go.kr[...]
2012-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